항공 신소재공학과는 항공기의 전자부품부터 기체의 동체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의 기초가 되는 소재를 다루는 학과로 국가 전략산업 육성 분야인 항공 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첨단 항공부품 소재분야에 특화된 학과이다. 기존의 신소재 분야 중에 항공기 구조 재료 및 항공기 부품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능성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전자, 반도체, 세라믹, 복합재료 등 다양한 공학재료들의 기본 물성을 바탕으로 항공재료에 관한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교육을 통하여 항공 재료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지식 습득과 항공 신소재 분야의 창의적인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목표
미래 항공 구조재료 및 신소재 개발에 도전적인 항공 실무인력 양성
- 항공기 구조재료(금속계 복합재료와 탄소계 복합재료) 실무인력 양성
- 차세대 항공기의 기능성/에너지 신소재 분야 실무인력 양성
신소재 개발과 분석 및 평가 기술력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
학과특성화
미래의 항공기 산업의 핵심 소재 교육
- 항공 산업 분야의 핵심 소재(구조, 기능, 에너지 등) 특화 과정 운영
- 우주항공소재와 2차전지 분야의 융합형 인재양성을 목표로 기반으로 첨단시설을 구축
- 4차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신소재 개발을 위한 전문적 실무장비 운용 지식 교육
- 소재 분야 기업 연계 현장실습과정 운영
교육체계
진출분야
- 정부 및 공공기관 : 항공안전기술원, 가스공사, 한국전력
- 연구소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재료연구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기업체 : 항공기 제작회사, 항공기 부품회사, 각종 기계 및 관련 장비 생산업체의 설계 및 제조부분, 기술관리 및 용역부문, (한국항공우주산업㈜, 삼성전기, 대한항공, 도레이첨단소재, 아남산업, 유성기업, 삼양산업, 기아특수강, 동일알루미늄, 한국중공업, 두원정공, 현대종합금속, 이화다이아몬드, 미진금속, 동양강철, ㈜도하인더스트리 등)
관련자격증
금속재료(산업)기사, 표면처리(산업)기사, 재료조직평가산업기사, CATIA 국제인증자격증, ATC(AutoCAD) 1,2급 자격, 비파괴검사(산업)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