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돌아가기 홈페이지 바로가기새창 아이콘
[항공공과대학]

항공신소재공학과

학과장
김인수
연락처
054-479-1140
이메일
iskim@ikw.ac.kr

학과소개

항공 신소재공학과는 항공기의 전자부품부터 기체의 동체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의 기초가 되는 소재를 다루는 학과로 국가 전략산업 육성 분야인 항공 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첨단 항공부품 소재분야에 특화된 학과이다. 기존의 신소재 분야 중에 항공기 구조 재료 및 항공기 부품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능성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전자, 반도체, 세라믹, 복합재료 등 다양한 공학재료들의 기본 물성을 바탕으로 항공재료에 관한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교육을 통하여 항공 재료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지식 습득과 항공 신소재 분야의 창의적인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목표

미래 항공 구조재료 및 신소재 개발에 도전적인 항공 실무인력 양성

  • 항공기 구조재료(금속계 복합재료와 탄소계 복합재료) 실무인력 양성
  • 차세대 항공기의 기능성/에너지 신소재 분야 실무인력 양성

신소재 개발과 분석 및 평가 기술력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

eabeb0f25606cde4b5688f6e748dc2ee_1639187216_8126.jpg 

학과특성화

미래의 항공기 산업의 핵심 소재 교육

  • 항공 산업 분야의 핵심 소재(구조, 기능, 에너지 등) 특화 과정 운영
  • 우주항공소재와 2차전지 분야의 융합형 인재양성을 목표로 기반으로 첨단시설을 구축
  • 4차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신소재 개발을 위한 전문적 실무장비 운용 지식 교육
  • 소재 분야 기업 연계 현장실습과정 운영

eabeb0f25606cde4b5688f6e748dc2ee_1639187224_5074.jpg 

교육체계

eabeb0f25606cde4b5688f6e748dc2ee_1639187231_7457.jpg 

진출분야

  • 정부 및 공공기관 : 항공안전기술원, 가스공사, 한국전력
  • 연구소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재료연구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기업체 : 항공기 제작회사, 항공기 부품회사, 각종 기계 및 관련 장비 생산업체의 설계 및 제조부분, 기술관리 및 용역부문, (한국항공우주산업㈜, 삼성전기, 대한항공, 도레이첨단소재, 아남산업, 유성기업, 삼양산업, 기아특수강, 동일알루미늄, 한국중공업, 두원정공, 현대종합금속, 이화다이아몬드, 미진금속, 동양강철, ㈜도하인더스트리 등)

관련자격증

금속재료(산업)기사, 표면처리(산업)기사, 재료조직평가산업기사, CATIA 국제인증자격증, ATC(AutoCAD) 1,2급 자격, 비파괴검사(산업)기사

산학연계과정 우수사례

태양광을 이용한 해양쓰레기 수거장치

과제 선정 배경

지구 환경을 파괴하는 주범 중 해양을 병들게 하는 생활쓰레기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수거된 해양쓰레기는 플라스틱, 목재, 유리, 금속 등으로 비율이 높다. 즉, 해양쓰레기의 60%가 플라스틱 등의 가벼운 물질이었으며 가벼운 비중을 가지고 있기에 물에 부유하는 특징이 있어 플라스닉을 수거하여 환경 파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는 소형배를 제작해 보고자 하였으며, 환경 오염을 줄이는 목적을 더욱 부합하도록 배의 동력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인 태양광을 이용하였다.

과제물의 장점

  • 환경개선 : 강과 바다에 떠다니는 부유 쓰레기 문제에 대해 시민들에게 환경오염 문제점을 알릴 수 있으며,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로만 작동되는 선박으로서 환경오염이 재 발생할 일이 없다.
  • 신재생에너지활용 : 기존 쓰레기 수거방식은 LNG와 LPG 같은 가스를 사용하지만, 태양광 에너지를 사용하면 탄소 배출량이 낮아진다.

디자인

eabeb0f25606cde4b5688f6e748dc2ee_1639187953_5486.jpg 

Field 4.0 인재육성강좌

강좌 개요

  • 4차산업역량 향상을 위한 CATIA 기초 강좌로서 취업과 창업 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기초 과정 학습

강좌 목적

소재·부품·장치 산업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고 학생들이 사회 진출에 꼭 필요한 설계프로그램으로서의 CATIA 기초 과정을 학습함으로써 전공 교과와 연계한 사회 수요 맞춤 전문기초 역량 강화

강좌 기대효과

  • 4차산업혁명에서 요구하는 부품 설계 및 장비 구축을 위한 기초 설계과정과 활용법을 학습함으로서 전공분야 사회 진출 경로 확대 및 취업 우위 선점
  • 전공교과와 연계한 사회 수요 맞춤 전문기초 역량 강화
  • 기업 수요에 대응하여 향후 사회 진출 진로 확대

eabeb0f25606cde4b5688f6e748dc2ee_1639187969_1629.jpg 

경운대학교 PRIME학과 '항공신소재공학과'

더 가볍게! 더 강하게!
항공산업의 미래! 첨단 항공 부품 소재 특화!!

부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