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정보통신공학과는 항공과 ICT를 접목한 학과로 항공산업에서 점차 비중이 커지고 있는 항공공학기술인력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로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이 적용되는 인프라인 사물인터넷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학과임
교육 목표
항공-ICT의 각종 장치와 IoT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기본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창의 융합인재를 양성하는 것
특성화 분야 및 교육 방침
- 항공-ICT 분야 : 항공통신 장치, 항법장치, 레이더, 전자파(RF), 각종 계기 장치 등의 항공전자시스템(Avionics)에 적용된 ICT 기술을 교육함
- IoT시스템 분야: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로 모든 기기와 사물을 연결하는 초연결 기술인 네트워킹 기술, 클라우드 보안, IoT(사물인터넷) 응용기술을 교육함
- 산업현장의 기술 중심으로 「동작 원리의 이해」, 「전기・전자 회로의 설계 및 장치 개발」, 「소프트웨어 구현 및 개발」, 「시스템 운용 및 관리」, 「융복합 응용 능력 개발」에 대해 중점을 둠
학과 강점 : 취업연계 교육을 통한 진로 확정
「현장맞춤형 방송통신기기 시험원」: 무선시험 인증기관인 국가지정기업에 조기 취업
- 교육내용: EMC 인증과 시험, 국내 무선인증과 시험, 안전규격, 실습
- 취업기업: 디티앤씨(코스닥), 씨티케이(코스닥), 에이치시티(코스닥) 등 50개사
- 2021년 2월 졸업생 조기 취업: 10명(케이이에스, KCTL, 원택, ICR, 엔트리연구원 등)
「클라우드 보안」: 글로벌 기업인 시스코, VmWare 국내 우수 협력사에 취업
- 교육내용: CCNA, CCNP, VMWare vSphere, 네트워크 자동화/보안/분석, 통합 프로젝트 실습
- 취업기업: 콤텍시스템(코스피), 링네트(코스닥), 쌍용정보통신(코스닥) 등 25개사
- 2021년 2월 졸업생 취업 예정: 15명
교육 체계
- 전공교과는 항공통신실무와 IoT시스템실무의 특성화 전공과정과 ICT공통심화과정이 주축을 이룸
- 진로 교육을 위해 자기이해, 진로탐색, 경력개발 사회진출의 단계를 학년별로 체계화함
- 전파 및 방송통신장비 인증 교육과 클라우드 보안전문가 교육을 활용하여 취업을 달성함
- 국제컴퓨터운용교육, CAD활용교육, IoT프로그래밍, IoT지식능력 검증교육을 전공분야 비교과로 구성함
진출분야
관련 자격증
• 정보통신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기술사 • 정보처리기사 • 정보처리산업기사 • 정보보호전문가 • 무선설비기사 • 전파전자기사 • 전파전자통신기사 • 전기기사 • 전자기사 • CCNA • CCNP • CCIE • 네트워크 관리사 • 정보기술산업기사 • 전자기기산업기사 •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학과 전망
IoT시스템 분야
- IoT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과 결합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IT 인프라로 확장하고 있음
- 전 세계 IoT시장 규모: 818조원으로 2023년까지 12.6%로 급성장
- 국내 IoT시장 규모: 13조 4천억원으로 연 8%로 성장
- 헬스케어, 방역/방재, 에너지, 수송/교통, 스마트홈 등에서 IoT 플랫폼의 급성장
항공-ICT 분야
- 항공산업은 정부가 미래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하는 분야임(10대 항공핵심기술 발전계획)
- 항공전자부품 생산 기업의 지역소재(LIG넥스원(구미), 한화탈레스(구미), 경주전장(경북))
- 항공산업 고용전망: 7,500~8,000명
- 영남권 IT산업인력 인력수요전망: 5,000명(업종 2위)
- 중단기 구미 전략산업의 인력수요 전망: 9,250명
정부지원사업 참여 현황
- PRIME사업 참여학과(신입생 전원 프라임 장학금 지급)
-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교육부) 참여학과
-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사업(LINC+) 참여학과
- 대학혁신지원사업 (2021~2023) 참여학과
- 지역선도대학육성사업 참여학과